다양한 패턴의 파일들을 찾고자 할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. 특정명령어를 찾고자할때에는 find나 which, whereis등을 사용하면 됩니다.
사용형식
slocate [-qi] [-d ] [--database=]
slocate [-i] [-r ] [--regexp=]
slocate [-qv] [-o ] [--output=]
slocate [-e ] [-f ] <[-l ] [-c] <[-U ] [-u]>
slocate [-Vh] [--version] [--help]
사용예 #1
현재 시스템에 존재하는 *.bak에 해당하는 파일을 찾은 예입니다.
*.bak파일을 찾아서 불필요한 파일을 삭제하고자 할때에 사용한 예입니다.
[root@host3 root]# locate *.bak
/var/lib/nfs/statd/sm.bak
/root/.mozilla/default/zlm8ufid.slt/prefs.bak
/usr/lib/perl5/vendor_perl/5.8.0/i386-linux-thread-multi/Filter/cpp.pm.bak
/usr/lib/perl5/vendor_perl/5.8.0/i386-linux-thread-multi/Filter/exec.pm.bak
/usr/lib/perl5/vendor_perl/5.8.0/i386-linux-thread-multi/Filter/sh.pm.bak
/usr/local/lib/php.ini-zend_optimizer.bak
[root@host3 root]#
사용예 #2
다음은 10개의 *.conf파일만을 찾은 예입니다.
실제로 시스템에는 *.conf파일이 수없이 많이 존재하므로 한 페이지에 모두 볼 수가 없는 까닭으로 갯수를 지정한 것입니다.
[root@host3 root]# locate -n 10 *.conf
/boot/grub/grub.conf
/var/ftp/etc/ld.so.conf
/etc/X11/gdm/factory-gdm.conf
/etc/X11/gdm/gdm.conf
/etc/modules.conf
/etc/host.conf
/etc/nsswitch.conf
/etc/ld.so.conf
/etc/fonts/fonts.conf
/etc/esd.conf
[root@host3 root]#
'UNIX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reboot (0) | 2012.06.12 |
---|---|
[Linux] shutdown (0) | 2012.06.12 |
[Linux] hostname (0) | 2012.06.12 |
[Linux] Vfat 한글 파일명 보기 (0) | 2012.06.12 |
[Linux] chmod, chattr (0) | 2012.06.12 |
hostname
시스템의 호스트네임을 출력하거나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.
사용예 #1
현재 시스템의 호스트네임을 확인하려면 그냥 hostname이라고만 하시면 됩니다. 아래예는 현재 시스템의 호스트네임이 host3.superuser.co.kr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.
[root@host3 root]# hostname
host3.superuser.co.kr
[root@host3 root]#
이 정보는 현재 쉘환경변수중 HOSTNAME에 입력이 되어있는 값입니다.
사용예 #2
현재 시스템의 호스트네임을 변경하려면 "hostname 변경할호스트명"과 같이 하시면 됩니다. 다음은 hostname을 host4로 변경한후에 변경된 호스트네임을 확인한 것입니다.
[root@host3 root]# hostname host4
[root@host3 root]#
[root@host3 root]# hostname
host4
[root@host3 root]#
하지만 이렇게 변경된 호스트네임은 재부팅을 했을때에는 원래의 호스트네임으로 돌아가 버립니다. 만약 재부팅후에도 호스트네임을 변경되게 하려면 /etc/sysconfig/network파일의 HOSTNAME부분을 변경하시기 바랍니다.
사용예 #3
다음은 -f옵션을 사용하여 호스트이름과 도메인을 모두 출력하는 예입니다. 이 옵션은 기본옵션(default option)이며 -f옵션을 사용하지 않고 그냥 hostname만으로도 FQDN형식으로 출력해줍니다.
[root@host3 root]# hostname -f
host3.superuser.co.kr
[root@host3 root]#
'UNIX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shutdown (0) | 2012.06.12 |
---|---|
[Linux] locate, slocate(특정패턴의 파일을 찾는다) (0) | 2012.06.12 |
[Linux] Vfat 한글 파일명 보기 (0) | 2012.06.12 |
[Linux] chmod, chattr (0) | 2012.06.12 |
[Linux] Telnet 과 Ftp에 관한 글 (0) | 2012.06.12 |
etc/fstab 파일에서 "vfat" 바로 오른쪽에 있는 "defaults"를 "iocharset=cp949"로 수정합니다. 그리
고 "iso9660"의 오른쪽에도 "iocharset=cp949"를 추가합니다.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.
[파일 : /etc/fstab]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/dev/hda1 /mnt/c vfat iocharset=cp949 0 0
/dev/hda5 /mnt/d vfat iocharset=cp949 0 0
/dev/cdrom /mnt/cdrom iso9660 iocharset=cp949,noauto,owner,kudzu,ro 0 0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이 내용은 시스템을 재부팅해야 적용이 됩니디만 즉시 적용하고 싶으시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입력하시면 되겠
습니다.
umount /mnt/c
mount -t vfat -o iocharset=cp949 /dev/hda1 /mnt/c
CDROM의 경우에는 /etc/fstab에 iocharset=cp949 옵션을 추가하는 것으로 바로 적용이 됩니다.
'UNIX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shutdown (0) | 2012.06.12 |
---|---|
[Linux] locate, slocate(특정패턴의 파일을 찾는다) (0) | 2012.06.12 |
[Linux] hostname (0) | 2012.06.12 |
[Linux] chmod, chattr (0) | 2012.06.12 |
[Linux] Telnet 과 Ftp에 관한 글 (0) | 2012.06.12 |